日도피생활 9개월만에 마감한 서미경… 13년전 신격호와 판박이 | |||
검찰 수사 한창일 때 일본행…수사 마무리되고 잊혀질만하자 귀국 | |||
조세포탈 등의 혐의로 기소된 신격호(95) 롯데그룹 총 괄회장의 사실상 ‘셋째 부인’인 서미경(58) 씨가 일본 도피생활 9개월 만에 귀국했다. 서 씨는 지난해 6월 롯데그룹 총수 일가의 경영 비리 의혹에 대한 검찰의 대대적인 수사가 시작되자마자 일 본으로 출국, 검찰의 거듭된 소환 요구에도 응하지 않고 버티다 20일 열린 첫 공판기일에 맞춰 한국으로 돌아왔 다. 서 씨는 그동안 신 총괄회장과의 사이에 낳은 외동딸 신유미(34) 씨의 도쿄(東京) 자택과 도쿄 인근 별장 등을 오가며 생활한 것으로 알려졌다. 호텔롯데 고문이란 직함을 갖고 있는 유미 씨는 수 년 전 일본인 남성과 결혼한 뒤 주로 일본에 머물며 생활해 왔다. 지난해 검찰의 서슬 퍼런 재산 몰수 압박에도 버티며 귀국하지 않던 서 씨가 첫 공판기일에 맞춰 돌연 귀국한 것은 사법당국의 거듭된 압박과 함께 신변처리 등에 대 해 모종의 조율이 있었던 것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. 이미 기소까지 이뤄져 총수 일가에 대한 검찰의 수사 가 사실상 마무리된 데다 재판 과정에서는 인신이 구속 될 가능성이 크지 않아 지난해와 달리 귀국에 대한 부담 이 덜했다는 지적이다. 결과적으로는 어떻게든 구속만은 면해보고자 했던 서 씨의 ‘시간끌기’ 작전이 성공했다는 평가도 나온다. 이미 세간의 시선은 대통령 탄핵과 차기 대선전, 하루 앞으로 다가온 박근혜 전 대통령의 검찰 소환 등에 집중 돼 있어 더이상 서 씨나 롯데가의 비리 의혹에 대한 관 심이 지난해만큼 높지는 않은 것이 사실이다. 검찰 수사가 한창일 때 일본으로 도피해 시간을 끌다가 사건이 세간에서 잊혀질 때쯤 슬그머니 귀국한 서 씨의 이 런 전략은 13년 전 신 총괄회장이 검찰의 대선자금 수사를 피하기 위해 구사했던 전략과 판박이다. 신 총괄회장은 노무현 정권 시절 주요 대기업에 대한 검 찰의 대선자금 수사가 한창이던 2003년 당시까지만 해도 꼬박꼬박 지켜오던 이른바 ‘셔틀경영’을 중단하면서까지 장 기간 일본에 머물며 검찰의 예봉(銳鋒)을 피해갔다. ‘셔틀경영’이란 매년 홀수 달은 한국에, 짝수 달은 일본에 머물며 한일 양쪽의 경영을 챙겨왔던 신 총괄회장만의 독특 한 경영방식을 일컫는 표현이다. 그는 검찰의 불법 대선자금 수사로 소환 조사가 임박한 것으로 알려지자 2003년 10월 일본으로 출국, 이듬해 8월 조용히 귀국할 때까지 10개월 동안 ‘셔틀경영’을 중단했다. 신 총괄회장이 슬그머니 귀국한 2004년 8월은 이미 대 선자금 수사가 일단락된 뒤였기 때문에 그는 검찰 소환을 회피할 수 있었다. 재계 전문가들은 이처럼 신 총괄회장의 ‘성공 사례’가 있기 때문에 롯데 사람들이 검찰 수사 등 불 리한 일이 터지면 재빨리 도일(渡日)해 시간을 끌다가 잠잠 해지면 조용히 귀국하는 패턴을 반복하고 있다고 지적했다. 재계 관계자는 “창업주가 재일교포여서 일본에도 근거지 가 있는 롯데는 전략적으로 불리한 일이 터지면 사건 연루 자들이 일본으로 도피하는 전략을 구사하는 것 같다”며 “효 과가 있을 수도 있겠지만 한편으로는 롯데가 가진 ‘일본 기 업’이란 부정적 이미지를 증폭시키는 부작용도 있다”고 말 했다. 금융팀 |
|||
|
|||
글쓴날 : [17-03-24 17:22] | 신문관리자기자[news2466@naver.com] | ||
![]()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