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 '왜 私人 최순실에 자문했나'… 朴정부 초기 靑 시스템 어땠길래 | |
|
박근혜 대통령은 최순실씨 파문과 관련한 대국 민사과 입장표명에서 대선 과정은 물론 집권 초까지도 연설문 등 공식 메시지 작성과 관련해 최 씨로부터 도움을 받았다고 자인했다. 박 대통령은 최씨로부터 "취임이후에도 일정 기간 에는 일부 자료에 대해 의견을 들은 적도 있다"고 토 로했고, 그러면서 "청와대 및 보좌 체제가 완비된 이 후에는 그만두었다"도 덧붙였다. 박 대통령의 말을 뒤집어보면 정권 출범 이후에도 최 씨에게서 연설·홍보 자문을 받은 이유가 임기 초 반 청와대의 보좌 시스템이 미흡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. 의문점은 박근혜정부 출범초 청와대 비서실 시스 템이 어땠길래 국정과 관련해서 공적 계선조직인 비 서실 라인에서 벗어난 외부의 사인(私人)인 최씨의 자문을 받는 상황까지 초래했느냐는 점이다. 일반적 인 정부 시스템 운용 측면에서는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대목이기 때문이다. 실제로 박근혜 정부의 1기 청와대는 인선 작업에 서부터 애를 먹으며 취임 초기 잇단 시행착오를 겪어 야 했다. 민정비서관, 홍보기획비서관, 법무비서관 등 주요 참모의 내정을 취소했다가 다시 임명하는 등의 잡음을 거쳐 취임 보름 만인 2013년 3월12일에야 40명의 비 서관 인선을 마무리할 수 있었다. 특히 박 대통령이 당선 후 처음 임명한 '1호 인사'인 윤창중 청와대 대변인이 같은 해 5월 미국 순방을 수행하던 중 술을 마시고 여성 인턴을 성추행했다는 의혹으로 물러나고, 이남기 홍보수석까지 책임을 지고 동반 사퇴하는 초유의 사태에 휩싸 이기도 했다. 청와대뿐만 아니라 내각에서 심각한 인사난맥이 벌어진 것 도 정권 초기 국정운영에 큰 혼선을 줬다. 2013년 2월25일 취 임 전후로 재산문제 등 도덕성 논란으로 자진사퇴한 김용준 국무총리 후보자를 비롯해 김종훈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후보 자, 황철주 중소기업청장 내정자, 김학의 법무부 차관 내정자, 김병관 국방부 장관 후보자, 한만수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 등 고위공직자 후보자들이 각종 논란으로 대거 낙마한 게 주 요 사례다. 윤진숙 전 해양수산부 장관의 경우 도덕성 의혹이 아닌 청 문회 과정에서 자질 논란에 휩싸여 세간의 구설에 올랐고, 진 영 전 보건복지부 장관은 '항명 파동' 끝에 9월 말 사표가 수 리됐다. 전체적으로 청와대와 정부가 어수선한 분위기를 벗지 못한 가운데 최 씨가 실제 개입한 메시지 문제로 한정해서 보면, 박 대통령의 취향을 초기 청와대 보좌진이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 다는 이야기도 나온다. 당시 청와대 사정에 밝은 한 인사는 "취임 직후 처음 들어 온 사람들이 자리를 잡지 못해서 그랬을 것"이라면서 "연설기 록비서관 밑에 행정관들이 처음에는 대통령 스타일을 잘 모르 니까 익숙해질 때까지는 입맛에 맞는 메시지를 내놓지 못했을 것"이라고 추정했다. 조인근 전 연설기록비서관의 경우 2007년부터 박 대통령의 연설문 작성을 담당했지만, 그 밑의 행정관들은 정권 초기에 는 대통령이 원하는 메시지를 다듬는 데 어려움을 겪었을 수 있다는 추론이다. 그러나 최 씨의 연설문 사전 입수 의혹을 처음 제기한 JTBC가 최 씨의 컴퓨터에서 찾아낸 44건의 연설문 파일 중 2014년 3월 독일 드레스덴 연설문 등 집권 2년차 메 시지들도 포함돼 있어 의구심을 낳는다. 표면상 청와대 보좌 시스템이 안정된 시점을 2013년 8월 김 기춘 전 대통령비서실장 취임 후로 본다면 '김기춘 체제'가 출 범한 지 반년이 넘어서도 최씨와 연설문 메시지를 상의한 것 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올 수 있는 대목이다. 따라 서 박 대통령의 해명에도 최 씨가 집권 중·후반기에도 일정 부 분 영향력을 행사했을 가능성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완전히 수 그러들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. 최씨의 '연설문 개입' 스캔들은 무엇보다도 시스템 정비 미비의 문제도 있지만 박 대통령도 대 국민사과 입장표명에서도 밝혔듯이 "과거 제가 어려움을 겪을 때 도와준 인연"이라는 누구와도 공유할 수 없는 사적인 인연 의 끈이 공적 영역으로까지 넘나드는 일탈을 야기한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. |
|
|
|
|
| 글쓴날 : [16-10-31 09:23] | 신문관리자기자[news2466@naver.com]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