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 "노년의 외로움, 인지기능 저하 촉진" | |
|
외로움과 우울증이 인지기능 저하를 가속화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.
미국 하버드 대학 의과대학 정신과전문의 낸시 도노번 박사가 1998~2010년 사이에 65세 이상 남녀 8천311명을 대상으로 2년마다 외로움을 묻는 설문조사와 함께 인지기능 테스트를 시행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영국의 데일리 메일 인터넷판과 헬스데이 뉴스가 20일 보도했다. 인지기능은 나이가 들면서 점차 떨어지게 마련이지만 외로움이 심한 노인은 인지기능 저하 속도가 외롭지 않게 사는 노인에 비해 20%나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고 도노번 박사는 밝혔다. 조사 시작 당시 외롭다고 대답한 노인은 전체의 17%였고 이 중 절반이 우울증세가 있었다. 이 연구결과는 알츠하이머 치매를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을 제시하고 있다는 데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도노번 박사는 평가했다. 전에 발표된 연구결과들을 보면 외로움이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은 담배를 하루 15개비 피우는 것과 맞먹으며 운동 안 하는 것보다 나쁘고 비만보다는 2배나 해롭다고 한다. 영국의 경우 75세 이상 노인 중 50%가 혼자 살고 있으며 이들은 가족이나 친구와도 별 접촉 없이 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. 이 연구결과는 워싱턴에서 열리고 있는 미국알츠하이머병학회 국제학술회의에서 발표됐다. 이 학술회의에서는 또 10대, 20대, 30대에 TV를 하루 4시간 이상 보는 사람은 25년 후 인지기능이 떨어진다는 연구결과도 소개됐다. |
|
|
|
|
| 글쓴날 : [15-07-21 15:26] | 신문관리자기자[news2466@naver.com] |